MTT(Multi-Table Tournament)에서 언제 3벳 블러핑을 시도해야 할지는 많은 포커 플레이어에게 어려운 문제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3벳 블러핑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줄 두 가지 핵심 요소를 설명합니다.
Playability와 그 의미
첫 번째 요소는 핸드의 playability입니다. Playability는 포스트플랍에서 핸드를 얼마나 쉽게 플레이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.
- 좋은 예시: 10-9 수딧
- 플러쉬와 스트레이트를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Flopzilla로 계산해보면 약 49.2%의 경우 페어나 드로우를 맞출 수 있습니다.
- 나쁜 예시: J-7 오프수딧
- AK와 맞대결에서도 2 카드가 모두 살아있지만, 플랍에서 페어나 드로우를 맞출 확률이 31.7%로 낮습니다.
- 드로우 없이 배럴링을 하기가 어렵습니다.
정리하자면, playability가 좋은 핸드는 스택이 깊고 상대편이 3벳을 자주 플랫콜하는 경우에 블러핑하기에 좋습니다.
Blocker와 그 영향
두 번째 요소는 블로커입니다. 블로커는 상대방이 특정 핸드를 가지고 있을 확률을 줄여줍니다.
- 에이스 블로커:
- 상대방이 AA나 AK를 들고 있을 확률을 줄여줍니다.
- 상대의 4벳 레인지를 8~9% 정도 줄여줍니다.
- 킹이나 퀸 블로커:
- 브로드웨이 핸드 (KQ, QJ 등)를 줄여줍니다.
- 특히 OOP(Out of Position)에서 효과적입니다.
특히 25BB 이하의 숏스택 상황에서는 에이스 블로커의 가치가 더 큽니다. 상대방이 편하게 4벳 올인을 할 수 있는 핸드 하나를 블락함으로써 우리의 3벳 블러핑이 더 효과적으로 됩니다.
당신의 레인지 설정
3벳 블러핑 레인지를 설정할 때는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:
- 3벳 블러핑보다 콜이 더 나은 핸드들: KQ 수딧, 66 같은 핸드는 포스트플랍에서 playability가 좋기 때문에 3벳보다는 콜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.
- 콜링 레인지 설정: 콜링 레인지가 넓을수록 3벳 블러핑 레인지는 폴라라이즈됩니다. 예를 들어, J-10 수딧을 콜링 레인지에 넣었다면 10-9 수딧을 3벳 블러핑 레인지에 넣을 수 있습니다.
밸런스의 문제
밸런스는 블러프와 밸류의 비율을 맞추는 것입니다. 일반적으로 블러프 하나에 밸류 카드 두 장을 넣는 것이 이상적입니다. 예를 들어, 99+와 AQ+로 3벳을 한다면, 블러프 콤보는 34개 정도를 넣는 것이 좋습니다.
최종 생각
3벳은 상대의 오프닝 레인지, 상대의 반응, 스택 사이즈, 토너먼트 상황, 상대가 생각하는 우리의 핸드와 경향 등 많은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.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자신의 3벳 레인지를 설정해 보세요. 낮은 스테이크 MTT에서 헤매고 있다면, 공격성을 올리고 3벳 블러프를 더 섞어보는 것이 좋습니다.